설계 1 본부 
SEON  ARCHITECTURE  & ENGINEERING



우리는 언제나 미래의 건축에 도전합니다.

도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는 사람들 시선을 끄는 아이콘입니다. 이러한 도시의 아이콘들은 사건의 시작이며, 사람들의 모임과 행동 패턴에 따라 프로그램이 만들어지고 조정되고 생성되며 확장됩니다. 
도시의 시작점으로서 건축은 도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뿐 아니라, 개인과 단체, 도시와 국가의 공동체적인 이상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전통의 은유 또는 특정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디자인 어휘뿐 아니라 최근에는 직접 이미지를 연출하여 도시의 아이콘으로서의 건축 이미지를 제안하기도 합니다. 
이제 선건축이 설계하고 감리한 건축물들은  도시의 랜드마크이자 장소를 기억하는 아이콘으로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The city's new landmark is an eye-catching icon. These city icons are the beginning of events, and programs are created, coordinated, created, and expanded according to people's gatherings and behavior pattern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ity, architecture is not only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expressing the image of the city, but also contains the community ideal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ities and countries. In addition to design vocabulary reminiscent of traditional metaphors or specific images, recently, they also propose an architectural image as an icon of the city by creating their own images.
Now, the architecture designed and supervised by SEON Architecture sits in people's memory as a landmark of the city and an icon of remembering places.

신종호/소장

Sin, Jongho

정영신/소장

Jung, Yeongsin 

신영진/소장

Sin, Yeongjin

박형기/소장

Park, Heongky

김유란/소장

Kim, Yuran 

박종민/이사

Park, Jongmin 

유병욱/이사

Yoo, Byungwook 

신경현/이사

 Shin, Kyunghyun

곽윤미/이사

 Kwak, Yoonmi

박미연/부장

 Park, Miyeon

황호상/부장

Hwang, Hosang 

박명희/부장

Park, Myunghee 

장승규/부장

 Jang, Seunggyu.

김도영/차장

Kim, Seungja 

이동훈/부장

Lee, Donghun 

홍용의/부장

Hong, Yongye 

신미혜/차장

 Shin, Mihye

오경진/차장

Oh, Kyungjin 

서은영/차장

 Seo, Eunyoung

박영림/차장

 Park, Youngrim

김다현/과장

Kim, Dahyun 

노아영/과장

Nho, ahyeong 

조병삼/과장

Jo, Byeongsam 

노승호/대리

Nho, Seungho

신지혜/대리

 Shin, Jihye

홍유진/대리

 Hong, Yoojin

유은서/대리

 Yoo, Eunseo

이다송/사원

Lee, Dasong

문주현/사원

Mun, Juhyeon

건축은 공간을 통하여 역사와 사회에 의미를 부여합니다.
또한 건축은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구현하는 일로 표출되기 때문에 공간에 대한 질문과 대안을 고민하며 
우리가 공존하는 사회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져야합니다. 

Architecture gives meaning to history and society through space.
In addition, architecture is expressed as creating and implementing a physical environment, so we think about questions and alternatives about space.
We need to have a sense of how much we can contribute to a coexisting society.

Park Geun Dong
박근동 / 부사장   Director of Design 1 Headquarters

건축이 창조형 지식산업인 이유는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된 분야이면서도 그 어떤 산업보다도 정치·경제·사회·문화 측면에서 파생되는 영향력과 부가가치 창출능력이 높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경쟁력과 경제력을 결정하는 주요 핵심 산업이 지식산업이기 때문에 많은 선진국들은 선도적으로 지식산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미래의 중요한 가치로 삼고 있다.따라서 건축가는 인문,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통찰력을 바탕으로 건강하고 올바른 건축적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있어야 한다.

The reason why architecture is a creative knowledge industry is that it is a field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ut it has a higher influence and ability to create added value than any other industry. Many advanced countries are leading the way in spurring the knowledge industry and making it an important value in the future, as the main key industry that determines a country's competitiveness and economic power is the knowledge industry.Therefore, architects should be able to present healthy and correct architectural solutions based on insights across humanities, society, and culture.